갑작스런 위기상황으로 생활이 어려워졌나요? 서울시 거주자라면 최대 300만원까지 긴급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조건만 맞으면 누구나 가능한데 절차를 몰라서 포기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지금 바로 신청방법부터 필수서류까지 완벽 가이드를 확인하세요.
서울형 긴급복지 신청방법
온라인은 서울시 복지포털에서 24시간 신청 가능하고, 오프라인은 거주지 동주민센터 방문 또는 전화(02-120)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긴급상황 발생일로부터 1개월 이내 신청해야 하며, 토요일과 일요일도 온라인 접수는 계속 진행됩니다.
요약: 온라인 24시간, 오프라인 동주민센터, 위기발생 1개월 이내 신청 필수
5분 완성 자격조건
소득기준 확인하기
중위소득 75% 이하 가구가 대상입니다. 1인 가구 기준 월 소득 154만원, 2인 가구 256만원, 3인 가구 329만원, 4인 가구 401만원 이하면 신청 가능합니다.
위기상황 해당여부
주소득자 사망·실직·질병, 가정폭력·화재·자연재해 피해, 전기·가스·수도 중단 위기, 의료비 부담 등이 해당됩니다.
거주조건 체크
서울시에 주민등록상 거주하면서 실제 거주하고 있어야 합니다. 일시적 체류나 관광목적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요약: 중위소득 75% 이하 + 위기상황 발생 + 서울시 실거주자
최대 혜택 받는 방법
생계지원은 1인 가구 최대 62만원, 4인 가구 최대 135만원까지 지원되며, 의료비는 300만원 한도 내에서 실비 지원됩니다. 주거지원은 임차료 기준으로 최대 69만원, 연료비는 10만원까지 지원 가능합니다. 교육지원과 장제비도 별도로 신청할 수 있어 여러 항목을 함께 신청하면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요약: 생계·의료·주거·연료비 등 복합 신청으로 최대 혜택 확보
꼭 챙겨야 할 서류
신청서류를 미리 준비하면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기본서류는 반드시 필요하고, 위기상황별 증빙서류를 추가로 준비해야 합니다.
- 사회보장급여 신청서,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기본 필수)
- 소득·재산 신고서,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소득 확인용)
- 실직확인서·진단서·화재확인서 등 위기상황 증빙서류
- 통장사본, 임대차계약서 (지원금 입금 및 주거확인)
- 의료비 영수증, 공과금 고지서 (해당 지원 신청 시)
요약: 기본서류 4종 + 위기상황 증빙서류 + 해당 지원별 추가서류 준비
Tags:
welfare